5G FWA (fixed wireless access)

 

1> 개요

  • 5G FWA는 유선 대신 무선으로 각 가정에 초고속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 인터넷 TV(IPTV)와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유선 케이블 대신 5G 전파로 제공하는 방식이다.
  • 홈 가정내의 경우, 고정 광대역을 제공하는 비용과 복잡성으로 인해 고속 데이터 서비스의 출시가 필요하다. 와이맥스 (WiMAX)와 같은 기술의 경우, 새로운 오버레이 인프라와 비싼 독점 장비를 요구되기에 실패하였다. 이에 따라 5G 도입으로 5G FWA가 주목받는다 

2> 정의

  1. 5G FWA는 유선 대신 무선으로 각 가정에 초고속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2. 기반 기술로는 5G 이동통신기술을 기반을 하고 있으며, 물리기술로써, 빅데이터, AI, VR, AR, 인공지능, 자율주행의 의 기반 네트위크 기술로 이용할 수 있다.
  3. 땅이 넓어 초고속 인터넷 보급률이 10% 안팎에 불과한 미국에서 이 방식을 이용하면 케이블 매설 비용과 서비스 준비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각 가정에 초고속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3> 서비스 개요

세계 최초의 5G FWA 상용제품인 실내·외용 5G 라우터, 자체 개발 칩셋, 5G 기지국, 코어 장비들도 전시됐다. 이런 장비를 통해 집에서도 5G 환경을 누릴 수 있는데 초고속 대용량 파일 다운로드뿐 아니라, 클라우드를 이용한 대용량 게임도 가능해진다. 운영체제 (OS),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 없이 간단한 컨트롤러만으로도 조작이 가능하며, 5G의 빠른 반응속도까지 더해져 실시간으로 다른 사용자와 양방향 게임을 즐길 수 있다.

 

 

4> 사업 추진 현황

2018년 1월 4일 삼성전자는 미국 최대 이동통신 사업자인 버라이즌에 5G 기술을 활용한 고정형 무선 액세스(FWA:FWAfixed wireless access) 서비스 통신장비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버라이즌은 2017년 7월부터 미국 11개 도시에 5G FWA 시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18년 하반기 상용 서비스 개시를 목표로 세웠다. 업계에선 버라이즌이 준비하고 있는 2018년 하반기 5G FWA 서비스가 세계 최초의 5G 상용 서비스가 될 것이란 평가도 나온다. 하지만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반의 통신 서비스 제공을 엄밀한 의미의 5G 서비스로 봐야 한다는 의견에 힘이 실린다. KT 등 국내 통신사들은 2019년 상반기에 모바일 기반의 5G 상용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 신동수 상무는 “이번 MWC 현장에서 선보이고 있는 가정과 교통수단, 도심, 스마트 시티 등의 5G 서비스를 위한 통신기술들은 상당 부분 상용화 단계에 와 있다”라고 밝혔다.

 

국가별 현황

 

미국 -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먼저 5G 주파수 (28 GHz)를 할당했고, 올해 하반기 5G 기술을 이용해 FWA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버라이즌과 미국 주요 도시에서 5G 시범 서비스를 진행 중으로, 버라이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11개 지역 중 새크라멘토를 포함한 7개 지역에 5G 망을 구축했다. 또 AT&T와 인디애나 지역에서 5G 시범 서비스를 진행하는 동시에, T-모바일과 5G 시범 서비스에도 나서고 있다.

 

한국 - 한국은 세계에서 정보통신기술을 가장 빨리 받아들이는 ‘신기술 테스트베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9월 SK 텔레콤과 세계 최초로 4G-5G 네트워크 연동 시연에 성공했다.

 

일본 - 일본은 2020년 도쿄올림픽에서 5G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2016년 11월 NTT 도코모와 고속 이동 자동차에서 5G 시연을 진행했다. KDDI와는 지난해 2월 도쿄 도심 고속도로에서 5G 시연에 나섰고, 12월엔 일본 고속철도에서 5G 시험을 진행하며 협력하고 있다.

 

기타 - 삼성전자는 최근 프랑스 이동통신사업자인 오렌지와 5G 협력을 발표하는 등 유럽으로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한국의 KT, 미국 버라이즌과 손잡고 국내 5G 시범 서비스와 미국 FWA 서비스 상용화를 위한 규격을 공동으로 마련하는 등 글로벌 협력에도 활발히 나서고 있다.

 

'기술worl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종네트워크 연결 "Dense HetNet"  (0) 2019.10.19

1. 개요

  • 이동통신네트워크안에서 노드와 노드간의 무선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해서 Cell 환경이 필요하다.
  • 이동통신 특성상 RF 구간에서는 이런 Small Cell들이 기존의 매코로 네트워크와 같이 혼합 운영되는데 이를 HetNet 이라고 한다.
  • 이 HetNet 의 목적은 매크로 네트워크의 문제점 해결이다

2. 정

  • "HetNet"(이종 네트워크)은 특성이 다른 다양한 요소로 구성된 네트워크입니다. 무선 통신 환경에서 HetNet은 예를 들어 셀룰러, WiFi 컴포넌트의 네트워크, 및 마이크로파, 셀룰러 및 광섬유 전송 링크와 같은 다양한 기술로 구성된 무선 네트워크라 말할수있다.
  • Dense HetNet 은 고밀도 HetNet 으로 기존 HetNet 보다 복잡도, 연결성및 이종성이 더욱 증가된 고밀도네트워크이다.

3. 구성도

http://www.daliwireless.com펌

 

'기술world' 카테고리의 다른 글

5G FWA  (0) 2019.10.22

+ Recent posts